타인의 고통
본문

타인의 고통 다시보기
카테고리: 영화
평점:
줄거리: 어두운 호텔 방에 두 사람이 있다. 한 사람은 정장을 입고 침실에 앉아있고 다른 한 사람은 헐벗은 채 차가운 욕조에 쓰러져 있다. 같은 방 안에 있으나 두 사람은 마치 혼자 있는 것처럼 철저히 분리된 채 존재한다. 아무런 대화도 없는 이 호텔 방 안에는 곧 폭발할 마그마처럼 들끓는 무언가가 빛이 되어 분사 되고 있다. 그리고 두 사람의 시선은 당신의 안구에 도달한다.
퓰리처상 사진전 한가람디자인미술관 3월 30일까지 타인의 고통 수잔 손택과의 간극
예전에 전시회를 보면서 수잔 손택의 타인의 고통이 떠올랐는데요. 서로 엮어가며 이야기를 해보자 했는데 생각에 그쳤지요. 재차 관람해 본 기회를 살려 리뷰해 보지요. 타인의 고통이자 포토저널리즘을 이야기해 보겠습니다. 전쟁 사진이 마냥 잔혹하고 거친 장면을 보여준 건 아니었습니다. 2차...[독서후기] 사진과 전쟁 이야기를 담은,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
#타인의고통 #수전손택 #사진 #전쟁 #포토저널리즘 #종군기자 #전쟁사진 #창원 #성산도서관 #독서모임 #인우회 #사진의가치 #힌츠페터 #518독일사진작가 미국 작가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은 ‘전쟁’과 ‘사진’의 이야기입니다. 그러나 저자는 사진보다 전쟁이야기라고 했습니다. 수전 손택....[6년 전 오늘] 타인의 고통, 수전 손택
6년 전 오늘 타인의 고통, 수전 손택 읽고 싶어서 몇 번 들고다녔으나... 요즘 워낙 산만하고 감정이입 같은 거 하기 싫어, 하는 상태라 미루고 미루다 책이 팔리니까 그제서야 다 읽은 나... 제목은 타인의 고통이지만 사진에 대한 이야기다. 전쟁의, 그리고 다른 잔인한 장면들을 사진으로 찍고...[타인의 고통] - 수전 손택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은 전쟁과 폭력의 참상을 기록한 사진과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구하는 책입니다. 손택은 이... 손택은 역사적으로 사람들은 타인의 고통을 어떻게 바라봐 왔는지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과거 유럽에서는 사람들이 공개 처형을 보러 몰려가거나...타인의 고통.. 무뎌지는 우리들?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이라는 책에서도 ~ 긍정적 모습과 모순이라고도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재난과 사고...를 긍정적으로 풀어낼 수 있을까?... 성장 행위가 이타적인지 생각- 컴패션(고통을 함께하는 마음), 나만을 위한 자기성장에 빠지는 것을 경계한다. 타인의 고통에 무뎌짐을 경계한다.김승섭의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를 읽고...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아픔이 길이 되려면>으로 이미 널리 유명해지고 많은 이들의 존경을 받는 김승섭 교수님을 직접 뵌 것은 ESC송년회... 아무튼 그곳에서 백일장에 참여했다가 뽑혀서 김승섭 교수님의 신간 책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를 선물로 받을 수 있는 영광을 누리게...수전 손택, 타인의 고통
'타인의 고통'. 고통에 대해 철학적, 심리학적으로 깊이 있게 다루는 책인 줄 알았는데 전쟁의 이미지 특히 사진에 대해 이야기하고 있었다. 사실... 점점 타인의 고통에 무뎌진다는 것, 그리고 우리가 고통받는 사람들에 연민을 느끼는 것도 실은 우리가 저지른 일이 아니라는 알리바이일 수 있다는 것...산불진화 소방헬기 항해 골프샷? - '타인의 고통'에 무감한 '이기적 유전자'
그래, 산불 피해는 어차피 '타인의 고통'이 아니던가. 저런 사람에게 굳이 '수전 손택'이 얘기한 공감의 실패까지 언급하는 것은 무용한 일일지... #산불 #소방헬기골프녀 #소방헬기앞티샷녀 #수전손택 #타인의고통 #공감의실패 #도덕적괴물 #이기적유전자 #윤석열불량식품 #윤석열대통령파면[도전100독-12] 타인의 고통 Regarding the Pain of Others
도전 100독 12번째 도서는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입니다. 한글 도서가 품절이어서 원서로 읽었고요, 총 115페이지의 짧은 책이지만... 수전 손택의 『타인의 고통』은 바로 이 “고통의 되새김”에 대해 말합니다. 이미지 너머의 윤리, 그리고 우리가 타인의 고통 앞에서...19. 타인의 고통에 응답하는 공부
수전 손탁이 내가 결코 경험할 수 없는 타인의 고통에 대해 말했다면 그럼에도 타인의 고통에 응답해야 함을 김승섭 교수님은 이 책을 통해 말하고 있다. 몇 권의 책을 통해서만 알게 된 교수님이지만 이 분을 존경한다. 보건학자의 정석이라고 생각한다. 김승섭 교수님의 '아픔이 길이 되려면...한국교회 트렌드 2025 책리뷰3] 멘탈 케어 커뮤니티, 정신질환자가 주는 '타인의 고통...
우리는 보통 '타인의 고통'을 생각한다. 그래서 그동안은 방해하는 정신질환자를 막는 데만 집중했다. 이 책을 읽으며 알게 됐다. '타인의 고통'뿐 아니다 '당사자의 고통'에 집중해야할 때라는 사실을 깨달았다. 예수님께서 귀신들린 자들의 고통을 없애주신 이유도 그 사람의 고통을 긍휼히...관련자료
-
링크